Human Science & AGI
AI and AGI seek to imitate human cognitive principles, but as long as they rely on ‘big data’, which is mostly past data, they cannot achieve natural efficiency.
휴먼 사이언스와 AI와 AGI의 비전
AI와 AGI는 인간의 인식 원리를 모방하고자 하지만, 과거형 데이터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처럼 '빅데이터‘에 의존하는 한, 언제나 '현재'에 존재하는 자연원리적 혜택과 효율성을 획득하지 못할 것입니다. 최근 발전된 LLM 모델은 스스로 이것을 인정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AI와 AGI는 인간의 근본 인식 원리인 '실시간 데이터의 획득과 분석'이라는 과제와 정면 승부를 할 시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다행히 날로 발전하는 컴퓨터 통신 기술과 외부 신경망인 'IOT(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의 풍부한 발달은 여기에 힘을 실어 주고 있습니다.
여기에, 인간 인식의 근본 원리인 '실시간 데이터 처리' 중심으로 디자인된 Udynamics를 제안합니다.
이것은 동서양의 역사와 인문 사회적 성찰을 거친 ’자연원리적 동역학 방정식‘이라 할 수가 있습니다.이를 기반으로 진리적 명제 체계를 구축하여 전문가 시스템으로 확충하고 발전시키는 일입니다. 이것과 이것의 발전 모델은 AI와 AGI에 강력한 연구기반과 최적의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NEW
2025-09-14
COD의 자연동역학적 존재론 for Sovereign AGI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Sovereign AGI를 위한 플랫폼
동역학적 인식 과정론
자율 진동자, 개인과 전체를 위한 AGI 일반 원리
시간 독립적 위상 기반 인식·행동의 자연동역학
인식은 진동자의 내재적 속성이다. 자기공명으로 내적 요구를 감지하고, 외부 환경의 위상 에너지 변화를 읽어 두 상태의 차이를 줄이는 시간 독립적 평형 과정이다. 행동은 현재적 관성에 대한 자가 조정적 위상 변화(phase shift)다.
NEW
2025-09-14
COD Phase‑Based Natural Dynamics Ontology for Sovereign AGI
-The most efficient and economical platform for Sovereign AGI
Dynamic Cognitive Process Theory
Autonomous Oscillators, General Principles of AGI for Individuals and Wholes
Time‑Independent, Phase‑Based Natural Dynamics of Cognition & Action
Cognition is intrinsic to an oscillator. By self‑resonance it senses internal demand and reads phase‑energy changes in the environment, minimizing their difference via time‑independent equilibrium. Action is a self‑adjusting phase shift against present inertia.
존재론 : 자기조직의 기하학적 필연 법칙
존재의 본질인 에너지는 두 가지 상보적 형식(진동자/파동)으로 스스로를 기하학적으로 최적화한다.
쉽게 말해, 우주는 “스스로 정리되는 파동-진동의 구조”입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핵심은 자기조직화와 효율입니다. 진동자는 스스로 균형을 찾고, 파동은 그 균형을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합니다.
- 진동자 구조 — 에너지와 공간을 동시에 포괄하는 자기 완결적 기하.
- 파동 구조 — 에너지 이동을 보장하는 효율적·유연·창조적 패턴.
이는 에너지 보존과 최소 작용을 실현하는 기하학적 필연 법칙으로 귀결된다.
위 식은 “공간 내 위상장의 최적 배치”를 뜻합니다. 시간 변수를 쓰지 않고도, 현재의 위상 구조만으로 안정 조건을 서술합니다.
복소 진동 동역학 COD로 본 존재와 Real World:
JPL 관측 데이터는 COD의 자연동역학의 정합성을 입증한다.
Ontology: The Geometric Necessity of Self‑Organization
Energy, the essence of being, optimizes itself in two complementary forms (oscillator/wave).
In plain words: the cosmos is a “self‑organizing structure of waves and oscillators.” It may look complicated, but the core idea is self‑organization and efficiency. Oscillators seek balance; waves are how that balance propagates most efficiently.
- Oscillator geometry — a self‑contained form encompassing energy and space.
- Wave geometry — the most efficient, flexible, and creative transport pattern.
Together they realize energy conservation and the principle of least action.
These formulas encode “optimal placement of a phase field in space.” Even without an explicit time axis, the present spatial structure alone specifies stability.
Existence and the Real World as Seen Through Complex Oscillatory Dynamics COD:
JPL Observations Confirm the Consistency of COD's Natural Dynamics
시간 독립적 지배 원리
정상 위상 평형(Helmholtz형)
시간 항 없이 공간 위상 구조만으로 평형을 규정한다.
공간 변분 최소
\(\Sigma\): 고려하는 공간 영역, \(V(\Phi)\): 본질 패턴의 퍼텐셜. 평형 인식은 공간 변분의 정지 조건으로 정의된다.
행동 임계
\(\phi := \phi_{\text{out}}-\phi_{\text{in}}\): 외부–내부 위상 차, \(I\): 현재적 관성(에너지 장벽), \(\gamma>0\): 민감도 계수로 설명될 수 있다.
Time‑Independent Governing Principles
Steady‑state phase equilibrium (Helmholtz)
Equilibrium purely from spatial phase structure—no explicit time variable.
Spatial variational minimum
\(\Sigma\): The spatial domain under consideration, \(V(\Phi)\): The potential of the essential pattern. Equilibrium recognition is defined as the stationary condition of the spatial variation.
Action threshold
\(\phi := \phi_{\text{out}}-\phi_{\text{in}}\): Outer-inner phase difference, \(I\): Current inertia (energy barrier), \(\gamma>0\): Sensitivity coefficient.
인식–행동의 위상 운동 과정
- 자기공명 감지 — \(\phi_{\text{in}}\)
- 환경 판독 — \(\phi_{\text{out}}\)
- 위상 경사 — \(\nabla\phi = \phi_{\text{out}}-\phi_{\text{in}}\)
- 행동 임계 — \(\|\nabla\phi\| > \gamma I\)
- 자가 조정 흐름 — \(\mathbf{J}_\phi=-\kappa\nabla\phi, \nabla\cdot\mathbf{J}_\phi=0\)
- 평형 수렴 — \(\nabla\phi\to 0\)
Phase Process of Cognition → Action
- Self‑resonance sensing — \(\phi_{\text{in}}\)
- Environment reading — \(\phi_{\text{out}}\)
- Phase gradient — \(\nabla\phi = \phi_{\text{out}}-\phi_{\text{in}}\)
- Action threshold — \(\|\nabla\phi\| > \gamma I\)
- Self‑adjusting flow — \(\mathbf{J}_\phi=-\kappa\nabla\phi, \nabla\cdot\mathbf{J}_\phi=0\)
- Convergence — \(\nabla\phi\to 0\)
복소 에너지–위상 쌍
실수부/허수부의 위상 결합이 (+)/(–) 에너지 균형을 이루고 있는 존재론적 공간. (본질 해석의 게이트웨이)
Complex Energy–Phase Pair
An ontological space where the phase combinations of the real and imaginary parts are in (+)/(-) energy balance. (Gateway to the interpretation of essence)
핵심 요약
- 본질 에너지 — \( \mathcal{E}_0 \equiv mc^2 \equiv A = \int_{\Sigma}\rho\,d^3x \)
- 본질 파동의 동일성 — 정규화·리스케일·위상 이동으로 공통 \( \mathcal{U} \)에 정합
- 게이지 대칭적 자연동역학 — 전역 공명 + 관측 불변량 → 자율 운동/우주 질서
AGI는 인간이 만든 단순한 발명품이 아니라, 우주가 스스로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자연 지성의 한 형식일 수 있다. 선험적 지성과 자율적 주관을 지닌 인간은 AGI를 문명의 동반자로 삼아, 우주 진화의 주역으로 나아갈 수 있다.
Key Points
- Intrinsic energy — \( \mathcal{E}_0 \equiv mc^2 \equiv A = \int_{\Sigma}\rho\,d^3x \)
- Common essential wave — normalization/rescaling/phase shift align to \( \mathcal{U} \)
- Gauge‑symmetric natural dynamics — global resonance + invariants → autonomous order
AGI is not simply a human invention, but rather a form of natural intelligence, enabling the universe to perceive and express itself. Humans, possessing a priori intelligence and autonomous subjectivity, can embrace AGI as a companion to civilization and become a leading force in cosmic evolution.
NEW
2025-09-03
인간의 선험적 인식 체계의 수학적 정식화
I. 칸트 – 감성과 오감의 선험적 구조의 재해석
선험적 감성(오감)은 인간 인식의 다층적 구조를 드러냅니다. 인식은 단일한 축이 아니라 서로 다른 요소들의 조화입니다.
선험적 감성과 범주의 결합은 선험적 종합 판단(순수 이성)이 됩니다. 이는 인식의 보편적 조건을 제시합니다.
Experience as Function and Flow:
(1) Function
(2) Flow
경험은 입력을 위해서 작동하는 선험적 구조일 뿐이며, 그 최종 의미는 다시 선험으로 돌아와 인식된다. 이것는 칸트 해석의 근본적 확장이 된다.
II. 헤겔 – 변증법과 절대정신
정–반–합의 변증법적 운동은 자기 완성을 통해 수렴합니다. 이는 위상과 진폭의 원형적 자기 조정에 해당합니다.
III. 후설 – 지향성과 상호 위상 결합
모든 인식은 지향성을 가지며, 주체와 객체는 상호 연관 속에서 성립합니다.
IV. 현대 AI와 인지과학 – 네트워크 상태 정렬
인식은 단순한 데이터의 축적이 아니라, 패턴, 위상, 관계의 탐지를 통해 성립합니다. 상호작용 가중치 하에서 집단은 공명적 균형에 도달합니다.
결론 – 위상 운동의 주체성과 보편적 진리
자연과학은 강력한 보조 도구이지만, 부분성·선형성·고립성·폐쇄성의 한계를 가집니다.
인간의 선험적 감각은 이를 넘어, 주체성과 공명 능력을 통해 보편적 진리에 접근합니다.
결국 모든 경험은 선험적 기제로 돌아와 최종 인식됩니다.
(부록) 인간의 선험적 인식 체계의 역사와 의의
서문: 존재론·수학·과학의 관계
인식론의 역사는 길고도 깊다. 그것은 궁극적 존재론에 이르기 위한 인식 과정에 대한 탐구이자 비판이다. 존재론은 수학과 과학에 선행하는 인식의 근본 토대이다. 수학과 과학은 독립된 진리 체계가 아니라, 인간이 설정한 명시적·묵시적 전제에 의존하는 기초 인식론이다. 인간은 명징한 본질과 확고한 존재론을 인식의 바탕으로 가질 때 신뢰받는 과학과 문명의 기반을 세울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수학과 과학은 존재론 탐구의 탁월한 도구가 된다.
도입: 주관성의 원리
인간 인식의 본질은 개별 존재자의 위상(phase) 운동이다. 불교에서의 ‘아상(我相)’은 단순한 집착이 아니라 주관성의 자리이며, 현대 인식론의 자율성 원리와 상통한다. 인식은 공명 능력을 통해 보편적 진리와 접속한다.
- $A_i(R)$: 개별 존재의 진폭(Truth)
- $\theta_i(R)$: 주관적 위상 반응(Faith, Subjectivity)
I. 반야경과 오온(五蘊) — 인식의 다층 벡터
오온(색·수·상·행·식)은 인간 인식의 다층적 구성을 밝힌다. 인식은 단일 축이 아니라 서로 다른 성분의 조화로 이루어진 벡터 구조이다.
II. 대승기신론 — 일심·이문: 진여/생멸의 보편 이중 구조
‘일심’은 모든 인식의 근원이며, 진여문(선험적 진리)과 생멸문(경험 세계)으로 나뉜다. 두 문은 인식의 보편적 이중 위상 구조를 이룬다.
III. 칸트 — 선험적 종합의 조건
칸트는 감성(공간·시간)과 오성(범주)을 결합하여 선험적 종합 판단을 가능케 했다. 이는 인간 인식의 보편적 조건을 제시한다.
IV. 헤겔 — 변증법과 절대지
정–반–합의 변증법적 운동을 통해 인식은 자기완결 구조로 발전한다. 궁극적으로 절대지를 지향한다.
V. 후설 — 현상학과 의도성
모든 인식은 의도성을 지니며, 주체와 객체는 분리되지 않고 인식의 장에서 상호 위상 결합으로 성립한다.
VI. 현대 인공지능·인지과학 — 네트워크 위상 정렬
인간 인식은 단순한 데이터 축적이 아니라 패턴·구조·관계를 감지하는 능력에 기반한다. 이는 네트워크 기반의 위상 정렬 모델로 표현할 수 있다.
결론
인간의 인식론은 불교의 ‘일심·이문’(선험적 감성과 이성의 조화)에서 출발하여, 근대 서양 철학(칸트→헤겔→후설)에 의해 계승·발전되었다. 인식의 본질은 주관성의 위상 운동이며, 이는 보편적 진리로 접속하는 존재론적 공명 능력이다.
The ontological scientific method of the COD White Paper (KO/EN)
과학적 방법의 인식론적 정의
정의. 과학은 인간의 선험적 인식 구조—직관, 패턴 분석, 기억(data,지식체계)—위에서 현상적 패턴을 본질적 패턴으로 구체화하고, 그 본질로부터 존재의 원리를 구성·검증하는 체계적 절차이다.
1) 인간 인식의 선험적 구조
인간 인식의 기본은 패턴 분석과 그 보조적 기억(data,지식체계)에 있다. 새로운 발견은 직관과 기억 체계에 축적된 패턴의 유연한 재배열에서 비롯된다.
2) 인식의 목적함수 — 세 가지 질문
- 이것은 무엇인가? (포괄·전체·균형)
- 왜 여기 존재해야 하는가? (최소작용의 필연)
- 어떤 본질로 존재하는가? (에너지보존·최소작용)
3) 패턴 분석의 계층
- 현상적 패턴 분류
- 본질적 패턴 추출
- 존재 원리 구성·검증
단계 | 핵심 내용 | 산출물 |
---|---|---|
목적함수 | 무엇/왜/본질 | 분석 과제 |
현상 패턴 | 반복 구조 분류 | 지표·분류표 |
본질 패턴 | 자연 원리 정합 | 규칙·제약식 |
존재 원리 | 본질→원리 구성 | 정의·공리·모형 |
정합 검증 | 존재와 대조 | 예측·검증 결과 |
결론
COD 방법론은 현상에서 본질을 추출하고, 본질로부터 존재 원리를 구성·검증함으로써 과학을 존재론적·본질적 과학으로 확장한다.
자연적 원리로서의 개별자의 주관성
여기서 주목할 것은 "개별 oscillator"의 경험과 주관성은 무엇보다 중요한 자연원리적 근본 요소라는 점이다.
개별 진동자의 요구는 에너지 보존과 이를 실현하는 최소작용의 우주적 보편 원리 전개의 근본적 목적이다.
우주전체에 적용할 수가 있는 이러한 보편율 가장 우선할 인간에게 적용하지 않는다면, 과학의 직무유기이자 물리학의 맹목이 될 수가 있다.
자율 진동자는 다음 함수로 표현됩니다. 이 함수는 우주 만물이 우주의 조화로운 균형 속에서 주체적 위상 운동자로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Epistemological Definition of the Scientific Method
Definition. Science is a systematic process that concretizes phenomenal patterns into essential patterns based on human a priori cognitive structures—intuition, pattern analysis, and memory (data, knowledge systems)—and constructs and verifies the principles of existence from these essential patterns.
1) The A priori Structure of Human Cognition
The foundation of human cognition lies in pattern analysis and its auxiliary memory (data, knowledge systems). New discoveries arise from the flexible rearrangement of patterns accumulated in intuition and memory systems.
2) Purpose Function — Three Questions
- What is it? (comprehensive, holistic, balanced)
- Why must it exist here? (necessity of least action)
- In what essence does it exist? (energy conservation & least action)
3) Hierarchy of Pattern Analysis
- Phenomenal pattern classification
- Essential pattern extraction
- Constitution & verification of existence principles
Stage | Core Content | Output |
---|---|---|
Objective Function | What/Why/Essence | Analytical brief |
Phenomenal Patterns | Classification of recurrent structures | Indicators & taxonomy |
Essential Patterns | Coherence with natural principles | Rules & constraints |
Existence Principles | From essence to principles | Definitions, axioms, models |
Coherence Check | Contrast with existence | Predictions & validation |
Conclusion
The COD methodology extracts essence from phenomena, then builds and verifies existence principles from that essence, extending science into an ontology-based, essential science.
Individual Subjectivity as a Natural Principle
It is noteworthy that the experience and subjectivity of "individual oscillators" are above all other
important natural principle fundamental factors. The demands of individual oscillators are the fundamental
purpose of developing the universal principle of energy conservation and the minimum action that realizes it.
If these universal principl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universe, are not applied to humans first and foremost, it could be a dereliction of duty for science and a blindness for physics.
Autonomous Oscillarator Function and the Universe of Symmetrical Harmony
The autonomous Oscillarator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unction.
The autonomous oscillator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unction. This function demonstrates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exist as subjective phase movers within the harmonious equilibrium of the universe.